본문 바로가기
[기획] '서울의 봄'을 기억하라, 김수민 정치평론가가 말하는 12·12 사태와 김성수 감독 인터뷰

1979년 12·12 사태 이후 정국이 어지러운 상황에서 계엄사령관에 임명된 정상호 육군참모총장(이성민)은 투철한 직업정신을 가진 이태신 소장(정우성)에게 수도경비사령관을 맡긴다. 12·12 사태의 수사를 지휘하는 합동수사본부장에 오른 뒤 기고만장해진 전두광 보안사령관(황정민)을 견제하기 위해서다. 야욕을 품은 전두광은 12월12일, 10·26 사태와의 연관을 빌미로 정 총장을 강제 연행하고자 한다. 그가 하나회를 거느리고 대통령(정동환)을 찾아가 강제적인 재가를 받아내려는 사이 이태신은 그의 계략을 눈치챈다.

김성수 감독이 <아수라> 이후 7년 만에 신작을 내놨다. 12·12 군사반란을 다루는 <서울의 봄>은 반란군이 육군참모총장을 납치하며 공관에 들어가 총성을 울린 오후 8시부터 대통령이 총장 연행을 어쩔 수 없이 재가한 다음날 새벽 5시10분까지 약 9시간을 집중 조명한다. 여기 <서울의 봄>으로 진입하기 위한 두개의 시선을 소개한다. 영화 바깥에서 시작하는 김수민 정치평론가의 글은 영화의 역사적 배경을 이해하는 데 도움을 줄 것이다. 영화 내부에서부터 우러나오는 김성수 감독의 인터뷰는 그의 리얼리티를 강조한 세계를 파악하는 최적의 길잡이가 될 것이라 확신한다. <서울의 봄>이 오고 있다.

*이어지는 기사에서 <서울의 봄> 기획이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