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사회적 협동조합 ‘인디하우스’ 창립, 지역 영상 문화 활성화

지난 6월 5일에 열린 강릉의 사회적 협동조합 ‘인디하우스’ 창립 총회.

‘독립영화의 도시’ 강릉을 주목하자. 6월 5일 강릉의 사회적 협동조합 ‘인디하우스’가 창립 총회를 열고 활동을 시작했다. 지역에서 활동하는 창작자, 강릉독립예술극장 신영과 강릉시네마떼끄 회원 및 독립영화 정책 관련자 등 27명이 조합원이다. 조합원 중 한명인 이마리오 감독은 “지역에서 독립영화를 만들고, 상영하는 독립 영화인들과 관객, 지역의 NGO가 책임감을 갖고 영상 문화의 저변 확대”를 조합의 취지로 설명한다. 덧붙여 이마리오 감독은 “2018년 평창동계올림픽 이후 강릉시의 발전 모델을 시 차원에서 연구 중인데 여기에서 ‘독립영화의 도시 강릉’이 중요하게 논의되는 걸로 안다”며 조합의 향후 역할도 언급한다.

인디하우스의 첫 번째 사업은 ‘2017 사회적 경제공동체 상영회’다. 아르바이트노동조합에 관한 다큐멘터리 <가현이들>(2016)은 노동당 영동당원협의회와 알바노조 강릉준비팀과, 장애/비장애에 대한 논의의 미국 다큐멘터리 <불릿프루프 프로젝트>(2013)는 강릉장애인자립생활센터와, 환경과 농업 이슈를 다룬 프랑스 다큐멘터리 <내일>(2015)은 강릉생명의숲과 공동주관 형식으로 상영한다. 개봉뿐 아니라 상영 기회조차 전무한 작품을 골라 사회적 현안과 연결해 논의하는 자리를 상영 후에도 가져가려는 의도다.

강릉에서 독립영화 창작자들과 독립영화에 관심을 둔 관객이 모일 수 있었던 바탕은 독립영화에 대한 오랜 관심이다. 이마리오 감독은 “강릉시네마떼끄를 중심으로 한 강릉독립예술극장 신영과 강릉시영상미디어센터 그리고 정동진독립영화제가 운영되면서 지역 영화인과 시민들의 교류의 자리가 돼줬다”고 말한다. 인디하우스의 주요 사업은 올해 정동진독립영화제 기간 중 관객 설문조사를 실시해 내년에 20주년을 맞는 영화제가 나아가야 할 구체적인 방향을 점검하는 것이다. 한편 다큐멘터리 제작 워크숍도 조합 차원에서 진행 중이다.

사진 인디하우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