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페셜] VFX 분야의 발전과 에세이필름 경향을 분석하다

영화는 극장을 찾은 관객이 비가 오나 눈이 오나 어두컴컴한 극장에 꼼짝없이 두어 시간을 발이 묶여 있어야 관람 가능한 매체다. 장르의 형식이라는 것도 틀이 짜여 있어 어떤 영화는 그 틀과 규칙을 잘 지켜 재미있고, 어떤 영화는 틀을 깨고 벗어났다며 신선하다고 반응한다. 그래서 우린 종종 영화의 역사란 것이 영화를 틀에 가둬두었다가 지루해지면 또 꺼내어 산산조각내었다가 또 가두는 등의 행위를 무한 반복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의심을 품을 수밖에 없다. 그런 와중에 영화는 끊임없이 예술성을 획득하게 되고 시간을 더 아름답게 가둬두는 노하우를 얻게 된다. 여기 소개하는 영화 만들기를 둘러싼 두 가지 경향은 전혀 다르면서도 묘하게 비슷한 속성을 지니고 있다. 에세이필름이란 형식은 영화의 형식보다 그 영화를 보고 있는 관객 자신에 주목하는데 그 때문에 자연스럽게 영화 자체의 형식을 되묻게 된다. VFX란 영화를 꾸며주는 시각효과 기술이 고도로 발전함에 따라 그 영화의 형태가 확장할 수 있는 가능성을 열어주고 있다. 이토록 영화는 끊임없이 변화하려 하는데 그 꿈틀대는 움직임 속에서 결국 영화 자체의 본질을 읽을 수 있으니 흥미로운 것이다. 에세이필름 경향과 VFX 분야의 발전 경향을 동시에 되짚어봄으로써 영화란 무엇인가, 라는 뻔한 질문을 다시 한번 되새겨보는 건 어떨까.

대담 참가자

강윤극 세종대학교 소프트웨어융합대학 교수 박재욱 EVR 스튜디오 이사 채수응 영화감독 유태경 덱스터 디지털 휴먼 & VR 연구소 소장 지명구 IOFX 공동 대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