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단국대학교 영화콘텐츠전문대학원] 한국영화의 미래를 짊어질 새로운 인재를 양성한다

2012년 개원한 DGC는 대학원장직을 겸임 중인 김동호 부산국제영화제 명예집행위원장을 중심으로 강지영, 김선아, 김태용, 박기용, 우정권 전임교수와 김미희, 김우형, 봉준호, 심재명, 오정완, 이춘연, 정민주, 정서경 초빙교수 등 영화제작 및 콘텐츠 교육 전문가들이 다양한 커리큘럼과 프로그램을 진행한다. 2014년 1학기엔 봉준호 감독이 ‘단편영화 제작실습’을 강의했고, 하반기엔 탕웨이의 비공개 특별강연을 열었다. 개원은 3년째로 역사가 짧지만, 1기 이용승 감독의 <10분>이 부산영화제에서 그해의 뉴커런츠 대상을 수상한 데 이어 2기 김대환 감독의 <철원기행>도 뉴커런츠 대상을 거머쥔 바 있다.

오는 11월17일부터는 DGC의 인터넷 원서접수가 시작된다. 영화콘텐츠학과를 프로듀싱, 스크린라이팅, 디렉팅의 전문학위과정(MFA)과 게임 및 애니메이션 인터랙티브 스토리텔링의 학술학위과정(MA)으로 분리해 총 25명을 모집한다. MFA 트랙은 자기소개서와 포트폴리오 또는 영화제작 아이템 계획서를 제출하는 1차 서류심사와, 발표 및 면접을 진행하는 2차 심사를 각각 50%씩 반영해 평가한다. MA 트랙은 아이템계획서 대신 자기소개서와 포트폴리오 또는 학업계획서를 심사하고 발표 및 면접을 진행한다. 반영 비율은 MFA트랙과 마찬가지로 각각 50%다. 두 트랙 모두 2차 심사는 발표 15분, 심층면접 15분, 총 30분으로 진행하며 발표 형식은 파워포인트를 따라야 한다.

각 서류 형식은 다음과 같다. 자기소개서는 성장과정, 학업과정, 사회경력, 가치관을 담아 쓴 A4용지 2장, 높이 평가하는 영화 4편(한국영화 2편, 외국영화 2편)을 선택하고 그 이유를 서술한 A4용지 2장으로 구성해야 한다. 이렇게 만들어진 자기소개서는 각 7부를 복사해 제출한다. 실적물이 있다면 영상물은 지원자의 이름을 확인할 수 있는 상영 혹은 수상증빙자료를 첨부한 DVD 복사본 7장을 제출한다. 제작되지않은 경우 한국영화시나리오마켓(www.scenariomarket.or.kr)에 필히 등록해야 한다. 영화제작아이템계획서는 양식을 다운받아 서술한 후 7부를 복사하여 제출하고, 학업계획서는 형식과 내용은 자유롭게 하되 역시 A4 용지에 7부씩 출력해 제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