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inepedia] 남이의 화살이 급격하게 휘어 날아가서 청나라 병사를 맞히잖아요. 실제로도 이런 기술이 가능한가요?

Q. 남이의 화살이 급격하게 휘어 날아가서 청나라 병사를 맞히잖아요. 실제로도 이런 기술이 가능한가요? A. 남이처럼 숨어서도 적에게 화살을 명중시킬 수 있다면 정말 무시무시하겠죠. 하지만 <최종병기 활>의 궁술 지도를 맡은 대한궁술원 장영민 접장에 따르면 남이처럼 급격하게 회전하는 활을 쏘는 건 현실적으로 불가능한 일이라고 합니다. 더 자세한 설명을 들어볼까요. “남이가 쓰는 기술을 ‘곡사’라고 부르는데, 실제로 그런 기술이 있기는 하다. 하지만 남이의 화살처럼 좌우로 회전하는 것이 아니라, 화살이 위에서 아래로 곡선을 그리며 떨어지는 걸 보통 곡사라고 부른다.” 다만 화살이 활을 떠난 직후, 운동에너지에 의해 활이 좌우로 흔들리며 날아가는 ‘파라독스’ 현상은 쉽게 목격할 수 있다고 합니다. 김한민 감독이 아마 이 ‘파라독스’ 현상에서 급커브 화살의 힌트를 얻지 않았겠느냐는 게 장영민 접장의 추측입니다. 만약 남이의 ‘곡사’가 실제로 가능했다면 어땠을까요? “임진왜란 이후 총이 활을 대체하는 일이 없었을 거다. 모습을 감춘 상태에서 휘어지는 화살을 쏴 적을 맞힐 수 있는데, 굳이 총을 사용할 필요가 있었을까.” 남이처럼 신통방통한 기술을 사용하는 자가 있었다면 ‘활의 시대’는 더 오래 지속됐을지도 모르겠네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