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한걸음씩 알아가는 중국문화의 진면목

개발과 낙후, 현대와 과거가 같은 공기를 흐르는 천의 얼굴을 가진 나라. 베이징은 올림픽 열기가 뜨겁고, 쓰촨은 구호의 열기가 뜨겁다. 중국 문화의 복잡한 단면들을 보여주는 영화들에서 해당 문화로의 여행을 시작하는 <중국이 내게 말을 걸다>는 관련된 지역, 음식, 사건, 전설 등을 징검다리로 놓아 중국 문화라는 거대한 강을 독자가 한 걸음씩 따라서 건널 수 있도록 친절하게 설계된 책이다. 베이징의 명물 경극은 <패왕별희>로, 자전거가 생활화된 대도시 풍경 속 농공민의 서글픈 하루살이는 <북경 자전거>로 읽는다. 1997년 홍콩 반환 뒤 불안했던 분위기를 <중경삼림>을 통해 들여다보고 <첨밀밀> 속 인연의 매개였던 중화권 최고 인기 가수 등려군이 퇴폐음악으로 규정돼 본토에는 한번도 갈 수 없었다는 웃지 못할 비사도 한 자락 들려준다. 1930년대 상하이를 재현하는 복고풍을 언급하며 <완령옥>과 <색, 계>를 거울 삼아 20세 초 중국 여성의 초상을 비추기도 한다. 체면이 목숨보다 중한 중국인의 기질은 물론 정치, 경제 등 민감한 부분도 잊지 않았으니, 영화로 떠나는 말랑한 여행기라고 속단하지는 말자. “량차오웨이”, “떵리쥔” 등 원음에 가깝게 쓰인 표기법이 어색할 수도 있지만, 그마저도 이 책에 빠져들게 만드는 요소 중 하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