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특집] 2024년에 1970년의 감독을 말한다는 것, 이두용 감독의 역사

2024년 1월19일, 82살로 타계한 이두용 감독을 지금 다시 어떻게 말할 것인가. 2024년에 뒤늦게 1970년에 데뷔한 감독의 이야기를 들추어보는 이유는 그가 흔히 고전영화 감독으로 불리며 회고되는 쟁쟁한 감독 중 누구보다도 분주하고 굴곡진 궤적을 거쳤기 때문이다. 동시에, 지난해 작고한 고 김수용 감독에 이어 들려온 그의 부음은 한국영화의 완전한 세대 단절이 머지않았음을 예감케 하기도 한다. 실질적으로 이두용의 재조명을 이끌어온 이름들이라 할 수 있는 후배 영화인들- 강우석, 이명세, 박찬욱, 오승욱, 류승완 감독, 그리고 정성일 평론가- 의 목소리를 ‘이두용을 기억하는 최후의 증인들’로 모아본 이유다. 1970년부터 2000년대까지 한국영화가 검열되고, 양산되고, 대안을 찾고, 부흥하고, 급변하는 긴긴 세월을 오직 영화 만드는 일로써 돌파한 한 감독에 관한 이야기를 전한다. 이두용에 관한 끝나지 않는 질문들을 들어주시기 바란다. 언젠가 극장에서 <내시>만 다섯번 보았다고 고백한 적 있는 김영진 평론가가 <내시>와 <피막>을 중심으로 쓴 작품 비평은 이두용 영화의 스타일을 그의 작품들처럼 힘 있게 압축하고 있으며, 동시대 연구자·비평가들도 무엇을 돌아볼 것인지에 대한 문제의식을 더했다. 한국영상자료원이 보유한 인물 사진과 작품 스틸에 더해 마지막은 <씨네21>의 사진 아카이브로 채웠다. 남아 있는 그의 영화, 그리고 안팎의 기록들은 부단히 말하고 있었다. 20세기 한국영화 감독의 험난한 역사와 그 속에서 생존한다는 것의 카리스마에 관해서.

*이어지는 기사에서 이두용 감독 특집이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