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터뷰] 뉴 커런츠 ‘부모 바보’ 이종수 감독, 일상적인 것을 낯설게

퇴근길을 터덜터덜 걷던 사회복지사 백진현 대리(윤혁진)는 맞은편 교가 아래에 들고양이처럼 엉거주춤 웅크려 앉은 사회복무요원 임영진(안은수)과 마주친다. 같은 장소에서 일하고 있지만 공통점이라고는 조금도 없어 보였던 두 인물의 접점은 여기서부터 시작된다. 결코 가까워질 수 없을 것 같던 두 청년은 조금씩 숨겨진 사정과 속내를 서로에게 털어놓는다.

- 사회복지사로 일하는 진현과 사회복무요원인 영진의 이야기다. 각본을 쓰고 연출하게 된 과정을 들려달라.

= 2018년에 사회복무요원으로 근무했다. 당시 느꼈던 제도의 아이러니를 수필처럼 적어두었다. 그러다 다음해 경상남도 창원의 교량 안에서 3년간 노숙을 한 남자의 이야기를 뉴스로 접했다. 이 사건이 내가 품고 있던 이야기를 풀어낼 수 있는 출구 같은 역할을 했다. 영화를 쓰면서 내 경험을 영화에 많이 가져왔다.

- 현대미술을 공부했다고. 영화를 만들기로 결심한 계기는.

= 어렸을 때부터 막연하게 마흔살에 영화감독이 되어 있어야겠다는 꿈이 있었다. 학창 시절 때부터 이시이 가쓰히토나 기타노 다케시의 영화를 보면서 감독의 꿈을 키웠고, 현대미술을 할 때는 미학 위주로 공부했다가 감독이 되려면 다 잘해야 되겠구나 싶어서 이것저것 해봤다.

- <부모 바보>의 오프닝 타이틀 이후 진현과 영진, 순례의 이름까지 챕터 타이틀로 나오면서 각 인물의 사연을 전한다. 이렇게 연출한 이유는.

= 시나리오로 봤을 때 사람들이 말을 너무 많이 하면 이산화탄소가 가득 차는 느낌이 들지 않나. 어떻게 환기를 할까 하다가 그런 장면을 떠올렸던 것 같다. 이름이라는 건 부모가 제시한 미래 같기도 하고. 그 사람의 사정을 말로 하지 말고 회상으로 만들어볼까 했다.

- 백진현 대리의 대사에는 롱테이크가 많다. 촬영하면서 배우가 힘들어하지는 않았나.

= 대사가 긴 걸 특히 힘들어했다. 그러면서도 대사가 길면 연기 습관이 나올 것 같아 말하듯이 자연스럽게 하고 싶다고 일부러 암기도 안 해오더라. 완전히 윤혁진이 이야기하는 것을 듣고 싶었기 때문에 나도 그 방식에 동의했다. 제일 많이 갔던 테이크는 세번이다. 한번에 끝난 롱테이크 장면도 있는데 동생 얘기를 하는 장면이다.

- 일상적인 장소와 장면을 익스트림 클로즈업과 사운드의 증폭을 통해 비일상적인 것처럼 느껴지도록 담고 있다.

= 일상적이고 하찮았던 것들이 점점 새롭게 느껴지는 때가 도래했다는 생각이 든다. 현대미술 영상을 많이 보는데 이전에 익숙하게 봐왔던 것들을 영화에 실험해보고 싶었다. 영화에 나오는 음악은 모두 직접 작업했다.

- 소셜 리얼리즘과 개성 넘치는 비디오 클립 사이에서 앞으로의 작업은 어디에 더 무게를 둘지 궁금하다.

= 소셜 리얼리즘을 기본으로 영화를 구상하는데 늘 내가 가만히 있지를 못하는 것 같다. 오즈 야스지로나 다르덴쪽을 스타일리시하다고 여겨 두 가지 다 가져갈 것 같다. 최근엔 가제이긴 하지만 <집 간장의 맛>이라는(웃음), 변화에 대한 영화를 구상 중이다. 다음 작품에서도 음악은 무조건 직접 만들 거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