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리뷰] ‘거미집’, 재미와 의미, 두 마리 토끼를 무난히 잡은 웰메이드 앙상블 코미디

1970년 신성필림 스튜디오, 김열 감독(송강호)의 ‘거미집’이 재촬영 중이다. 화제의 데뷔작 ‘불타는 사랑’ 이후 내리막길을 걷던 감독 김열은 이대로 삼류 감독으로 잊힐까 악몽에 시달린다. 신작 ‘거미집’을 다시 찍으면 걸작이 될 것이란 열망에 빠진 김 감독은 스튜디오의 실질적 후계자 미도(전여빈)의 도움 아래 이틀간의 재촬영을 시작한다. 하지만 각자의 사정으로 속 시끄러운 배우들, 문공부의 검열 등 완성까지는 첩첩산중이다.

김지운 감독의 신작 <거미집>은 1970년대 한국 영화 현장에 대한 오마주이자 불안에 시달리는 한 사람의 창작자로서의 자전적 고백을 담은 영화다. 나는 영화를 너무 사랑하는데 영화가 나를 사랑하지 않는다면? 재능과 욕망이 불일치할 때, 그럼에도 우리가 계속 영화를 만들 수밖에 없는 이유를 마주한다. 초기작 <조용한 가족> <반칙왕>이 연상되는 엇박자의 코미디를 기둥 삼아 배우들의 앙상블을 중심으로 한 소동극이 유쾌하고 유려하게 펼쳐진다. 정신없는 하루 속에 열정과 불안, 약간의 흥분 상태가 뒤섞인 영화 현장은 빠르고 혼란스럽고 즐겁다. 아쉬운 구석이 없는 건 아니지만 재미와 의미, 두 마리 토끼를 무난히 잡은 웰메이드 앙상블 코미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