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CJ CGV 주최 ‘하반기 영화산업 미디어포럼’이 분석한 2018년 극장 관객 추이

2018 하반기 CGV 영화산업 미디어포럼에서 발표 중인 이승원 CJ CGV 마케팅 담당.(사진 CJ CGV)

입소문, 팬덤, 20대. 국내 메이저 멀티플렉스 업체 CJ CGV가 꼽은 2018년 한국 영화시장의 세 가지 주요 키워드다. 12월 6일 CGV용산아이파크몰에서 CJ CGV가 주최하는 ‘하반기 영화산업 미디어포럼’이 열렸다. CGV 리서치센터가 집계한 데이터를 통해 2018년 영화산업을 결산하고 2019년 영화계를 전망하는 자리였다. CGV 리서치센터에 따르면, 2018년 전국 관람객은 11월 말 기준 누적 관객 약 1억9400만명으로 전년 동기간 대비 99% 수준이다. 11월까지 한국영화 비중은 51%로 외화를 앞섰고, 외화의 경우 프랜차이즈 영화의 강세가 예년보다 더욱 두드러졌다. 올해 다소 실망스러운 박스오피스 성적을 기록한 달은 9월과 10월로, 추석 시즌의 경우 전년의 76.2%에 지나지 않았다. 같은 시즌에 유사한 장르의 영화가 집중되며 이목을 끌지 못한 것이 부진의 원인으로 지목됐다. 발표자로 나선 이승원 CJ CGV 마케팅 담당은 “더욱 중요해진 것은 입소문의 힘”이라며 <서치>와 <월요일이 사라졌다> 등 입소문으로 박스오피스 순위를 역주행한 작품들의 사례를 들었다. 한편 <보헤미안 랩소디> <해리 포터와 마법사의 돌> <번 더 스테이지: 더 무비>처럼 팬덤 문화를 기반으로 한 흥행작은 올 하반기 국내 영화시장에 활기를 불어넣었다. 이들 작품의 흥행에는 “스크린X, 4DX 등 최적의 관람 환경을 제공한 토종 상영 기술이 중요한 역할을 한 것으로 보인다”고 분석했다. 올해 극장을 찾은 관람객 중 2529세대의 비중이 22%로 2013년 대비 4%가 상승했다. 300만명 이상의 관객을 동원한 <완벽한 타인> <암수살인> <탐정: 리턴즈> <독전> <마녀>의 경우, 20대 관객이 차지하는 비중이 40%에 달했다. 한편 CJ CGV가 주목하는 2019년의 키워드는 ‘헤비 유저’와 ‘워라벨’이다. 이승원 마케팅 담당은 <캡틴 마블> <어벤져스4> <킹스맨3> 등의 기대작들이 성과를 내준다면 2019년에는 관람객이 증가할 것”으로 전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