송강호, 신하균, 김태우가 관객과의 대화를 하고 있다. 송강호는 “DVD가 있음에도 불구하고 잘 안 보게 되더라. 오늘이 개봉 때 본 뒤로 두 번째 극장 관람이다”이라고 말했다.
“지난 15년 동안의 주요 순간들이 주마등처럼 뇌리를 스쳐 지나가더라.”
<접속>의 엔딩 크레딧이 메인 테마곡인 <A Lover’s Concerto>와 함께 올라가자 관객은 약속이라도 한 듯 박수를 보낸다. <접속>의 제작사인 명필름의 심재명 대표는 “영화를 보는 내내 옛날로 돌아가고 싶었다”면서 “지금 봐도 (<접속>의) 완성도가 뛰어나더라”라고 만족해했다. 지난 8월2일부터 5일까지 광화문 씨네큐브에서 ‘명필름15주년영화상영회’가 열렸다. 올해로 창립 15주년을 맞은 명필름은 그간 제작해온 30여편의 작품 중 <접속>(1997), <공동경비구역JSA>(2000), <와이키키 브라더스>(2001), <광식이 동생 광태>(2005) 등 네편을 상영하기로 한 것이다. 심재명 대표는 “당시 <접속>을 보고 영화를 하려는 사람들이 많았을 정도로 <접속>은 한국영화의 새로운 장르였고, <공동경비구역 JSA>는 사회적인 반향이 컸던 작품이다. <와이키키 브라더스>는 주변부 사람들의 인생을 밀도있게 그린 작품이고, <광식이 동생 광태>는 가장 최근 작품으로 재미있는 로맨틱코미디”라고 네편의 선정 이유를 밝혔다. 매 작품 상영이 끝난 뒤 감독, 출연배우와 함께하는 관객과의 대화 시간도 마련됐다.
먼저 8월2일 밤 10시. <접속> 상영 뒤 김영진 영화평론가의 진행으로 장윤현 감독과 배우 한석규의 관객과의 대화가 열렸다. “10년도 넘은 영화인데 다시 보니 감회가 어떤가”라는 질문에 한석규는“집에서 DVD로 가끔 본다. 지금 하면 그때보다 더 잘할 수 있을 것 같다”고 말했다. 이에 질세라 장윤현 감독 역시 “나도 지금 다시 하면 (연출을) 더 잘할 수 있을 거”라면서 “<접속>을 만들 때 신인인 나를 비롯해 영화를 처음 하는 스탭들이 많았다. 모두들 새로운 영화를 만들고자 하는 열망이 강했던 때”라고 웃으며 말했다.
다음날 같은 시각. <공동경비구역 JSA> 상영이 끝나고 이동진 영화평론가의 진행으로 배우 송강호, 김태우, 신하균의 대화시간이 마련되었다. “영화를 다시 본 소감은 어떤가”라는 질문에 송강호는 “박찬욱 감독에게도 참 순수했던 시절이 있구나라고 생각했다. 지금은 뭐 <박쥐> 같은 어두운 영화를 만들고…. 으헤헤. 농담이고. 박찬욱 감독은 늘 한결 같은 사람이고…”라며 좌중의 웃음을 자아냈다. 김태우는 “영화를 찍고 모든 배우들이 다 잘나갔는데 나만 못 뜬 것 같다. 얼마 전 여성영화인 모임 때 박찬욱 감독님을 만나 오랜만에 술을 마셨다. 그때 응어리가 쌓였는지 나도 모르게 감독님 앞에서 술주정을 했다”고 털어놓았다. 신하균은 “촬영할 때 참 분위기 좋았다. 그날 분량이 끝나면 모두 강호 형 방에 들어가 맥주를 마시고, 강호 형 피곤하면 모두 돌아가서 잤다”며 촬영 당시 에피소드를 꺼내기도 했다.
관객 역시 만족스러운 얼굴이었다. 여자친구와 함께 <공동경비구역 JSA>를 보러 온 김승민(29)씨는 “명필름은 늘 새로운 시도를 한 대중영화를 만들어왔다”면서 “15년을 넘어 20년, 30년, 100년까지 잘됐으면 좋겠다”고 말했다. 이 얘기를 들은 심재명 대표의 한마디. “아이고, 감사합니다. 100주년? 그럼 내 나이가 몇이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