매주 새로 나오는 책을 읽고 소개하던 한 문화부 기자가 있었다. 그는 책만큼이나 그 책을 쓴 이들에게 관심이 많았다. 한국의 글쟁이들은 어떤 환경에서 글을 쓰며,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 궁금했던 기자는 직접 그들을 찾아가 이야기를 들어보기로 결심한다. 정민, 한비야, 이원복, 공병호 등 현재 대한민국 책시장을 주도하는 18명의 글쟁이들의 이야기를 담은 <한국의 글쟁이들>은 그렇게 탄생했다. 한겨레신문사에서 10년째 출판담당 기자를 맡고 있는 저자의 개인적인 관심을 반영하듯 작가들의 글쓰기 노하우와 자료 보관법, 평소의 생활패턴까지 상세하게 기록되어 있는 것이 이 책의 장점이다. 흥미로운 건 ‘글쓰는 사람은 불규칙적이고 즉흥적인 삶을 살 것’이라는 일반적인 인식이 고정관념에 지나지 않는다는 점이다. 이 책에 등장하는 대부분의 저술가들은 정해진 시간 안에 규칙적으로 글을 쓰는 모범생 스타일이었다. 또 시간과 장소를 불문하고 머릿속에 떠오른 생각은 그 자리에서 기록하는 지독한 메모광이기도 했다. 하지만 무엇보다 이들이 대중적인 인기를 얻을 수 있었던 이유는 전문가의 영역을 저널리스트의 방식으로 알기 쉽게 풀어 설명했기 때문이다. 인터뷰 형식으로 풀어낸 개개인의 에피소드로 눈길을 끄는 동시에 ‘글쓰는 방법’이란 실용적인 정보 제공도 잊지 않는 책이다.
신간 담당 기자, 글쓰는 사람들을 만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