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석의 취재파일] 독도 수호의 선봉에는 민간인들이 있다

따지고 보면, 그동안 독도를 지켜온 큰힘은 정부가 아니라 민간인들에서 나왔다. 일본 막부로부터 독도가 조선 땅이라고 확인하는 서장(書狀)을 받아냈던 17세기의 어부 안용복이나 1950년대의 독도 의용 수비대장 홍순칠, 그리고 <독도는 우리 땅>을 불렀던 가수 정광태까지 독도 수호의 선봉에는 민간인들이 있었다. 일본 정부가 중학교 사회과 새 학습지도요령 해설서에 독도가 일본 고유의 영토라는 내용을 명기함으로써 불거진 최근의 독도 사태에서도 돋보이는 건 민간인들의 활약이다. 그중 가장 두드러진 활동은 홍보전문가 서경덕씨와 가수 김장훈이 <뉴욕타임스>에 독도를 알리는 전면광고를 낸 일이다. 그리고 이 두 사람의 만남을 가져온 계기가 된 영화 <미안하다 독도야> 또한 독도문제를 널리 알리는 기폭제가 될 전망이다.

<미안하다 독도야>는 <블루> <맨발의 기봉이> 등을 제작한 지오엔터테인먼트의 최현묵 대표가 직접 연출하는 극장용 다큐멘터리다. 현재 후반작업 중인 이 영화는 독도의 유일한 상주민인 김성도씨 부부를 비롯해 사이버 외교를 펼치는 민간단체 반크(VANK)의 박기태 단장, 독도를 해외에 알리려고 영어학원에 다니는 80대 노인, 해외에서 독도를 알리고 있는 동포 등 꾸준히 독도에 지극한 애정을 바쳐온 사람들에 주된 포커스를 맞춘다. 이외에도 일본 시마네현의 ‘다케시마의 날’ 행사 장면이나 6천명의 핸드프린팅으로 만들어진 태극기를 독도 앞바다에 띄우는 행사 모습도 담았다.

이 영화는 최근 독도 사태보다 훨씬 이전부터 기획됐다. 최현묵 대표는 “수년 동안 독도문제에 관심을 가져왔고, 건국 60주년을 맞은 올해가 좋은 시기라고 생각했다”고 말한다. 그가 독도에 남다른 관심을 갖게 된 것은 2002년 6월29일, 제2연평교전과 한국과 터키의 월드컵 3·4위전을 동시에 접하면서부터다. “그날 <블루>를 찍기 위해 진해 해군 작전사령부에 있었는데, 영내는 비상이 걸렸지만 바깥은 축제 분위기였다. 자연히 영토와 영해가 무엇인지 고민하게 됐다.” 이후 최 대표는 독도에 관한 공부를 해왔고, 지난해 3, 4월부터 본격적으로 <미안하다 독도야>를 준비하기 시작해 10월부터 올해 6월까지 촬영을 마쳤다. 이 영화에는 최 대표와 평소 알고 지내던 서경덕씨도 기획 프로듀서로 참여했다. “독도문제에 대한 장기적 전략을 제기하고 세계에 알리기 위해” 이 프로젝트에 참여한 그는 이 영화의 내레이션을 맡기기 위해 김장훈과 접촉했고, 뜻이 통해 <뉴욕타임스> 광고까지 내게 됐다. 6억원이나 들여 영화까지 만드는 민간인들의 노력에 이젠 정치권이 화답할 때가 아닐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