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삶을 아찔하게 버무려내는 감각, 이사카 고타로

“막다른 골목에 몰렸다고. 길모퉁이에서 로큰롤과 맞닥뜨리면 깜짝 놀라잖아. 보통은 그럴 일이 없으니까. 하지만 나는 맞닥뜨렸어. 위험한 거지.” 고만고만한 연애담들의 연속처럼 느껴지던 일본 소설들 사이에서 이사카 고타로의 책을 만나는 즐거움은 <사신 치바>에 나오는 구절처럼 아찔함을 동반한다. 이사카 고타로는 <칠드런> 한권만 국내에 소개된 작가지만, 무려 네 차례나 나오키상에서 고배를 마셨기 때문에 ‘이번에는’ 하는 기대심리가 작용한 탓인지 <러시 라이프>(2002), <중력 삐에로>(2003), <사신 치바>(2005)가 각기 다른 출판사의 이름을 업고 일시에 출간되었다.

<러시 라이프>는 도시의 현실과 도시의 전설 사이를 종횡무진 누빈다. 표지 그림인 M. C. 에셔의 ‘상승과 하강’과 똑 닮은 구조로 처음과 끝이 연결되고 각 인물들의 상승과 하강이 역전된다. 무대는 일본 센다이(작가가 살고 있는 곳이다). 연쇄토막살인사건으로 뒤숭숭한 이 도시에는 실직한 뒤 가족에게 버림받은 도요타와 아버지의 자살 뒤 신흥종교에 투신한 가와라자키, 능숙한 빈집털이범 구로사와, 애인의 아내를 죽이기 위해 음모를 꾸미는 교코 등이 살고 있다. 여러 사람의 이야기가 마치 영화 <숏컷>처럼 교차로 그려지는데, 특이한 점은 각 인물이 이상한 일을 겪고 서로 스쳐가는 대목들이 뒤죽박죽이라는 것이다. 이사카 고타로는 많은 인물을 다루면서도 각각의 특징을 잘 부각해 이야기 전체의 흐름을 매끄럽게 이끌어간다. 연쇄토막살인사건은 맥거핀으로, 토막난 시체를 엉뚱한 곳에서 만난 사람들이 경험하는 사건사고들과 그것을 통해 결국 깨닫게 되는 진실의 당황스러움을 자연스럽게 포용한다.

<사신 치바>는 단편집으로, 제57회 일본추리작가협회상 단편부문상을 수상한 <치바는 정확하다>를 수록하고 있다. 치바는 사신이다. 늘 비를 몰고 다니고 맨손으로 사람과 접촉하면 사람을 기절시키는 것과 동시에 그의 수명을 1년 줄이게 된다. 그는 어떤 사람이 수명이 다하기 전에 죽어도 될 것인지 여부를 결정하는 역할을 맡고 있다. 치바는 운명적 사랑을 발견한 사람을 만나기도 하고, 의협심이 넘치는 야쿠자나 스토킹을 당하는 여자를 만나기도 하며, 예전에 다른 사람의 운명을 결정지을 때 만났던 여인을 다시 만나기도 한다. 그는 대개의 경우 죽여도 된다는 ‘가’ 결정을 내리지만 죽음과 관계없이 사람들은 끝까지, 마지막 순간까지 최선을 다해 살아간다. “음악이 훨씬 귀중한데도 불구하고 돈을 위해서라면 어지간한 건 가리지 않고 다 한다”고 생각하는 치바는 단순한 죽음의 메신저가 아니라 매력적인 관찰자이다. <중력 삐에로>는 자신의 DNA를 경멸하는 하루와 그의 형 그리고 그들의 아버지가 치명적이고 기이한 승리를 거두는 과정을 재치있게 그리고 있다. 삶과 죽음, 인생의 의미 같은 거창한 소재들을 찰진 문장력과 유머감각으로 버무릴 줄 아는 이사카 고타로의 재능은 나오키상의 후광 없이도 충분히 매력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