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2005년, 충무로 상장업체 대규모 적자 기록

상장된 엔터테인먼트 업체들의 지난해 실적이 기대치를 한참 밑돈 것으로 나타났다. 3월15일 이병헌, 이정재 등의 소속사 팬텀은 지난해 69억원의 영업손실과 74억원의 순손실을 기록했다고 밝혔다. 같은 날 발표된 예당엔터테인먼트의 영업손실은 68억원, 순손실은 284억원이었다. 싸이더스는 영업손실 42억원과 순손실 11억원을, MK픽처스는 영업손실 57억원, 순손실 121억원, 튜브픽쳐스는 영업손실 14억원, 순손실 92억원을 기록했다. 또 2005년 12월31일자로 50% 이상 자본잠식 상태가 돼 관리종목으로 지정될 위기를 맞았던 서세원미디어그룹은 2월의 유상증자를 통해 자본잠식률을 25.5%로 낮췄다고 밝혔다.

결국 영업이익 36억원, 순이익 62억원을 기록한 IHQ와 3억5천여만원의 순수익(영업손실 39억원)을 낸 CJ엔터테인먼트를 제외한 대다수 영화·엔터테인먼트업체가 지난 한해 커다란 규모의 손실을 본 셈이다. 이들 엔터테인먼트 업체의 실적 발표 뒤 일부 주가는 큰 폭으로 하락하기도 했다.

심재명 MK픽처스 사장

그러나 다수의 엔터테인먼트 업체들이 지난해 우회등록됐던 점을 고려하면 이 손실은 기존 사업에서 나온 것으로 볼 수 있다. 심재명 MK픽처스 사장은 “지난해 적자는 공구사업(세신버팔로)에서 나온 게 대부분이다. 공구부문이 정리됐고 배급사업, 중국과의 비즈니스 등이 본격화하는 올해부터 나아질 것이다”라고 설명한다. 지난해 10월 우회등록한 튜브픽쳐스의 김동욱 이사도 “거의 모두가 기존 업체인 두리정보통신이 만든 적자”라고 말했다. 엔터테인먼트업계나 증권가가 “정말 주목해야 할 것은 내년 초에 발표될 2006년의 실적이다”라고 입을 모으는 것도 이 때문이다. 한동안 ‘엔터테인먼트’라는 간판만 달면 주가가 올랐지만, 내년 이맘때면 엔터테인먼트 사업이 실제로 돈을 버는지 여부가 눈으로 드러나게 된다는 얘기다. 이에 따라 단지 주가를 띄우기 위해 ‘엔터테인먼트’라는 간판을 단 업체가 솎아져 ‘옥석 구분’이 이뤄질 전망이다. 하지만, “각 업체들의 적자 폭이 예상보다 컸던 이유는 내년 실적발표를 대비해 시장이 안 좋은 올해 적자를 당겨 잡았기 때문”이라는 한 관계자의 말이 사실이라면, 내년에도 옥밭에는 여전히 돌들이 굴러다닐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