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스턴트맨의 세상은 끝났나?

스턴트맨은 가라? 최근 고난이도의 스턴트 연기를 대신할 시뮬레이션 시스템이 영국에서 개발됐다. 옥스퍼드대학에 위치한 내추럴모션사는 스턴트맨들이 직접 해결하기 힘든 위험천만한 스턴트 액션을 대신할 인공지능 시스템을 개발해 가상 스턴트맨들을 가동 중이다. 첫 수혜작은 브래드 피트(사진) 주연의 시대극 <트로이>.

‘엔도르핀’이라는 이름의 이 소프트웨어는 사람이 어떤 동작을 취할 때 근육과 뼈가 어떻게 움직이는가 하는 메커니즘을 숙지하고 있어서, 실제 배우처럼 자연스러운 동작을 선보일 수 있다. 엔지니어가 시범을 보이는 대로 동작을 따라할 뿐 아니라 그대로 영화 속 상황에 맞게 섞여들 수도 있다. 스턴트맨이 소화할 수 없는 액션을 모션캡처나 애니메이션으로 연출했던 기존 방식에서 한 단계 업그레이드된 기술이라는 것이 관계자들의 전언. 시뮬레이션이기 때문에 다양하게 적용할 수 있고, 무엇보다 빠르고 리얼하다는 강점을 지닌다.

이에 일각에선 이제 스턴트맨들의 설 곳이 사라지는 게 아니냐는 우려가 번지고 있다. 시스템 개발사인 내추럴모션에서도 “스턴트맨들의 일을 상당 부분 대행하게 되는 것은 사실”이라며 이를 인정하는 분위기다. 그러나 그들이 가상 스턴트맨을 내세우는 명분은 ‘초인적’ 액션을 연출할 수 있다는 점이다. 폭발물로 몸이 터져나가거나, 사지가 잘려나가거나, 절벽에서 떨어지는 것처럼 ‘연기’를 하는 것이 물리적으로 불가능하거나 치명적으로 위험한 상황을 실감나게 표현할 수 있다는 것. “스턴트맨의 세상이 끝난 건 아니다. 특히 클로즈업으로 보여져야 하는 장면의 리얼리티를 위해서라도 라이브 스턴트의 필요성은 계속될 것이다.” 실재와 가상의 대결, 시스템의 ‘보이지 않는 위협’은 이미 시작됐다.